와이어샤크 사용법 : File 메뉴
와이어샤크에 대해서 하나하나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설치에 대한 내용은 이전 글을 참조하시구요.(이전글 : 와이어샤크 설치)
프로그램을 실행한 뒤 캡쳐를 시작하면 기본 메뉴로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.
File 메뉴부터 Help까지 대메뉴가 있는데요.
메뉴 내용에 대해서 하나하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
오늘은 그 첫번째로 File 메뉴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
File 메뉴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서브 메뉴가 나오는데요.
주요 메뉴를 하나하나 살펴볼까요..?
* Open : 캡쳐를 해서 저장한 파일을 불러올 때 사용합니다. (단축키 : Ctrl + O)
* Open Recent : 최근에 불러오기를 한 파일 목록이 나타납니다.
목록에서 파일을 선택할 수 있으며, 목록을 전체 삭제할 수도 있습니다.
* Merge : 이 메뉴는 캡쳐한 파일을 다른 캡쳐 파일에 합칠 때 사용합니다.
* Import from Hex Dump : Hex Dump를 포함하고 있는 텍스트 파일을 임포트를 할 때 사용합니다.
* Close : 현재 캡쳐를 종료할 때 사용합니다. 저장을 하지 않았다면 종료할 때 파일을 저장 여부를 묻는 창이 뜹니다.(단축키 : Ctrl + W)
* Save : 현재 캡쳐 내용을 저장할 때 사용합니다.옵션에서 별도로 지정한 내용이 없으면 저장 다이얼로그 박스가 뜹니다. (단축키 :Ctrl + S)
* Save As : 현재 캡쳐한 내용을 다른이름으로 저장할 때 사용합니다.(단축키 : Shift + Ctrl + S)
* File Set -> List Files : 챕쳐한 파일 목록을 보여줍니다.
* File set -> Next File : 현재 로딩된 파일이 File Set의 일부라면 다음 파일로 이동합니다. File Set의 일부가 아니거나 File Set의 마지막이라면
비활성화 상태로 보여집니다.
* File Set -> Previous File : 현재 로딩된 파일이 File Set의 일부라면 이전 파일로 이동합니다. File Set의 일부가 아니거나 File Set의 처음이라면
비활성화 상태로 보여집니다.
* Export Specified Packets : 캡쳐 내용을 Export할 때 사용합니다. 다른 파일 형식 또는 전체/선택 내용/범위지정으로 Export할 수 있습니다.
* Export Selected Packet Bytes : 현재 선택한 패킷 내용을 바이너리 파일로 Export할 때 사용합니다.
* Export Objects -> HTTP : 캡쳐된 모두 또는 일부의 HTTP 객체를 파일로 Export 합니다.
* Export Object -> DICOM : 캡쳐된 모두 또는 일부의 SMB 객체를 파일로 Export 합니다.
* Print : 캡쳐된 모든 패킷을 출력합니다.
* Quit : 와이어샤크 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.
File 메뉴는 이전 글에도 말씀 드렸듯이 Open/Save/Print 이런 기본 기능과 캡쳐된 내용을 Export 하는 기능들로 이루어져 있는것을 알 수 있습니다.
저도 하나하나 실행해가면서 머리에 쏙쏙 집어넣어볼까 합니다.
다음 글에는 그 다음 메뉴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 열공!!
'공부해서 남주자 > 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부팅 USB 만들기 (0) | 2015.10.22 |
---|---|
윈도우7 비밀번호 재설정 : ntpwedit (0) | 2015.10.22 |
패킷 캡쳐 와이어샤크 사용법 (0) | 2015.10.19 |
우편번호 5자리 변환 (0) | 2015.10.17 |
PDF 합치기 (0) | 2015.10.17 |